[학습자료] [전교공부1등] -5단원보충심화
접속서버 :
학습자료실_40  |   |   |  1:1문의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  
아이티치포유 로그인

아이디
비번
회원가입     자동로그인

서브메뉴
전체자료보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자격증
공무원
임용고시


이 자료실은 일반 학습자료를 탑재하는 곳입니다.
학교 기출문제는 기출자료실 에서 업로드/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내수입보기 | 수익출금 | 회원순위

학습자료 > 2학년 > 국어 > 공통학기
  
자료번호 28575
자료분류 중학교 / 2학년 / 국어 / 공통학기
제목 [전교공부1등] -5단원보충심화         
자료점수
[중2]국어_공통학기_요점정리(5단원보충심화)#59d5kp4_28575.hwp(Size:59.5 KB)
다운로드3

5
첨부파일
미리보기
 

권 오 길

[1]

송무백열(松茂栢悅)이란 말이 있다. "소나무가 무성하니 잣나무가 반긴다."는 뜻으로 친구의 잘됨을 기뻐한다는 의미인데, 여기서는 소나무와 잣나무를 벗으로 비유했으나 생물학적으로 보면 사촌 뻘이 된다. 사촌이 논을 사면 배가 아프다는 고약한 심보에 비하면 지음(知音)을 아낀다는 것은 참 갸륵한 일이다.

-> 소나무와 잣나무의 관계

* 지음 : 거문고의 명인 백아(伯牙)가, 자기의 거문고 소리를 잘 이해해 준 친구 종자기(鍾子期)가 죽은 후, 그 소리를 아는 자가 없다 하여 거문고의 줄을 끊어 버렸다는 고사에서 유래. 마음이 서로 통하는 친한 벗. 지우(知友).


소나무 하나도 그냥 지나쳐 볼 일이 아니다. 자연에 흐드러지게 숨어 있는 비밀이 곧 자연 법칙인 것이니 하는 말이다. 길섶을 지나면서 쉽게 만나볼 수 있는 소나무에는 크게 보아 세 가지, 즉 세 사촌이 있다. 소나무에 가까이 가서 솔잎을 한번 자세히 들여다 보자.

-> 소나무의 종류

* 길섶 : 길의 한 쪽 가장자리


소나무는 이파리가 두 개씩 묶어 나는 것이 대부분인데, 이것이 우리 나라의 재래종 소나무 육송이다. 연년세세 우리와 같이 살아온 그 소나무이다. 자리를 잘 잡은 놈은 길길이 자라 낙락장송이 되지만, 그렇지 못한 것은 땅딸보 왜송으로 남는다. 그러나 낙락장송이나 왜송이나 다 같은 종이다.

-> 육송에 대한 설명

* 육송 : 줄기 부분이 갈색인 소나무

* 연년세세 : 매년

* 낙락장송 : 우뚝 높이 솟아 있는 늙은 소나무

* 왜송 : 크게 자라지 못한 소나무


[자료설명]

[전교공부1등] -5단원보충심화

게시판에 [전교공부1등]을 검색해보세요

많은자료 대기中

댓글은 아이티치포유 2017(공식홈)에서 작성가능합니다.바로이동하기
연관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