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 중2 미술 1학기 기말고사 요점정리 (교학사)
접속서버 :
학습자료실_40  |   |   |  1:1문의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  
아이티치포유 로그인

아이디
비번
회원가입     자동로그인

서브메뉴
전체자료보기

유치원
초등학교
중학교
고등학교
대학교
자격증
공무원
임용고시


이 자료실은 일반 학습자료를 탑재하는 곳입니다.
학교 기출문제는 기출자료실 에서 업로드/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내수입보기 | 수익출금 | 회원순위

학습자료 > 2학년 > 미술 > 1학기
  
자료번호 29066
자료분류 중학교 / 2학년 / 미술 / 1학기
제목 중2 미술 1학기 기말고사 요점정리 (교학사)         
자료점수
[중2]미술(교학사)_1학기_요점정리#32d0kp6_29066.hwp(Size:32.0 KB)
다운로드3

5
첨부파일
미리보기
 

 회화

 (1)회화의 표현 요소

   ①점,선,면

   ②형 - 자연형, 반추상형, 추상형

   ③색 - 고유의 색, 인상의 색, 창조의 색

   ④명암 - 대상의 실재감, 입체감, 표현 요소로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냄

      ○명암의 표현의 5단계

     ㉠가장 밝은 곳

     ㉡밝은 곳

     ㉢어두운 곳

     ㉣가장 어두운 곳

     ㉤반사광

   ⑤양감 - 무게, 중량감의 느낌

   ⑥질감 - 작품에 쓰인 재료에 따라 화면에 표현된 느낌

   ⑦재질감 - 물체의 표면에서 느껴지는 촉각적 느낌으로 부드럽다, 거칠다 등

   ⑧동세(운동감) - 물체의 움직임과 방향

   ⑨공간감 - 화면의 깊이, 넓이, 거리감

   ⑩색조(톤) - 색의 단계, 밝기, 분위기

   ⑪원근감 - 1)투시도법(선 원근법) : 물체의 모양 위치에 의해 표현, 소실점 이용

          2)색채(공기)원근법 : 색의 농담에 의한 원근표현

 (2)회화의 분류

[자료설명]

1. 회화

 (1)회화의 표현 요소

   ①점,선,면

   ②형 - 자연형, 반추상형, 추상형

   ③색 - 고유의 색, 인상의 색, 창조의 색

   ④명암 - 대상의 실재감, 입체감, 표현 요소로 밝고 어두운 정도를 나타냄

      ○명암의 표현의 5단계

     ㉠가장 밝은 곳

     ㉡밝은 곳

     ㉢어두운 곳

     ㉣가장 어두운 곳

     ㉤반사광

   ⑤양감 - 무게, 중량감의 느낌

   ⑥질감 - 작품에 쓰인 재료에 따라 화면에 표현된 느낌

   ⑦재질감 - 물체의 표면에서 느껴지는 촉각적 느낌으로 부드럽다, 거칠다 등

   ⑧동세(운동감) - 물체의 움직임과 방향

   ⑨공간감 - 화면의 깊이, 넓이, 거리감

   ⑩색조(톤) - 색의 단계, 밝기, 분위기

   ⑪원근감 - 1)투시도법(선 원근법) : 물체의 모양 위치에 의해 표현, 소실점 이용

          2)색채(공기)원근법 : 색의 농담에 의한 원근표현

 (2)회화의 분류

  1)사생화 : 직접 보고 그린 그림

  2)구상화 : 생각해서 그린 그림 (상상화, 이야기 그림)

  3)추상화 : 순수 조형 요소(점,선,면,형,색)로 그린 그림

       -뜨거운 추상(서정적 추상) : 칸딘스키

       -차가운 추상(기하적 추상) : 몬드리안

  4)임화 : 다른사람의 그림을 보고 그린 그림

 (3) 소묘(데생)

  1)소묘의 뜻

   ①한 가지 색으로 그린 그림 (단색화)

   ②조형 활동의 기초 훈련 과정

   ③대상의 형태, 명암, 양감, 동세의 표현

   ④작품을 위한 채색 전의 단계일 뿐만 아니라 소묘 자체가 독립된 완성작품이기도 하다.

  2)소묘(데생)의 종류

   ①스케치 : 대상의 특징을 간략하게 표현(채색화의 밑그림으로 쓰임)

   ②정밀묘사 : 대상의 구조를 자세하고 정밀하게 과학적, 객관적 표현

   ③크로키 : 움직이는 대상의 순간적 동작을 3-5분 사이에 선묘로 빠르게 표현하는 속사화

   ④데생 : 인체 데생과 석고 데생, 연필 데생과 목탄 데생이 있다

  3)소묘의 재료

   ①연필 : 가장 많이 쓰이며, 표현 방법이 자유롭고 다양하다.

   ②펜 : 섬세하고 날카로운 느낌 표현

   ③콩테 :연필보다 무르고 진하며 부드러운 명암을 나타내기에 좋으나 지우개를 사용할 수 없음

   ④목탄 : 일종의 숯으로서 넓은 면이나 부드러운 명암을 나타내기 좋으며 완성 후에는                       정착액(픽사티브)을 뿌려 보관함.(식빵으로 지움)

   ⑤붓 : 농담과 부드러운 선의 강약, 굵기 표현이 쉽다

 (4)수채화

  1)투명 수채화

   ①'물'로 명도(밝기) 조절

   ②밝고 경쾌하고 산뜻. 시원한 느낌

   ③밝은 색부터 채색

   ④밑색이 비쳐 보인다.

  2)불투명 수채화

   ①'흰색'으로 명도 조절

   ②무겁고 힘차구 중후한 느낌

   ③어두운 부분부터 채색

   ④밑색이 비쳐 보이지 않는다.

   ⑤물감을 두껍게 덧칠한 효과를 낼 수 있다.

  3)담채화 : 밑그림이 보일 정도로 엷게 채색

 (5)정물화

  1)정물화의 역사

   ①서양: 17세기 네덜란드 화가들이 정물을 독립된 주제로 그리기 시작

       18세기 프랑스의 샤르댕이 완성

   ②동양 : 중국에서 '기명절지화'를 그림

  2)정물화의 특징

   ①구도 학습에 좋다

   ②광선의 조절이 쉽다

   ③정물의 배치가 자유롭다

   ④날씨,계절에 구애받지 않는다

   ⑤소재를 구하기 쉽고 자유롭다

  3)정물화의 구도 (구도의 3요소 : 변화, 균형, 통일)

   ①마름모꼴 구도 : 통일감

   ②삼각형 구도 : 안정감

   ③타원형 구도 : 원만함, 통일감

   ④역삼각형 구도 : 불안감, 상승감

   ○형태가 변해 보이는 3가지 조건 : 눈높이 , 보는 방향,  거리의 원근

 (6)풍경화

  1)풍경화의 구도

   ①수평 구도 : 평화, 안정

   ②수직 구도 : 엄숙, 경견

   ③수평·수직 구도 : 견고한 짜임

   ④대각선 구도 : 집중감, 원근감 (풍경화)

   ⑤호선 구도 : 원근감(해안선 그림)

   ⑥전광형(S)구도 : 운동감, 원근감

   ⑦사선 구도 : 방향감, 속도감

  2)원근법 : 근경,중경,원경의 거리감 표현

   ①투시도법 : 소실점 수에 의해 1점투시, 2점투시, 3점투시로 분류

    ※소실점 : 물체의 연장선이 한 곳에 모인 점.(=보는사람의 눈 높이)

   ②공기 원근법(색채 원근법) : 빛이나 공기층에 의해 생기는 명도차, 색상차가 근경은 강하고                         선명하게, 중경은 중간정도로, 멀어질수록 원경은 흐리고 약하게                        엷게 채색한다.

   ③동양의 원군(곽희의 삼원법)

    ㄱ)고원법 : 밑에서 위를 올려다본 상태. 자연의 위압감

    ㄴ)평원법 : 평행된 시각으로 본 상태. 자연의 광활한 느낌

    ㄷ)심원법 : 위에서 아래를 내려다본 상태.

 

 (7)인물화

  1)인물화의 종류

  <대상에 의한 분류>

   ①자화상 : 자기 자신의 모습을 그림

   ②초상화 : 타인의 모습을 닮게 그림

   ③군상화 : 두 사람 이상을 그림

   ④코스츔 : 옷 입은 모습을 그림

   ⑤종교화 : 종교적인 내용을 주제로 그림

   ⑥역사화 : 역사상의 사건을 주제로 표현

   ⑦풍속화 : 일상 생활의 다양한 모습 그림

  <표현부위에 의한 분류>

   ①두상화 : 머리부분(목 윗부분만)그린 그림

   ②흉상화: 가슴 윗부분을 표현한 그림

   ③반신상화 : 허리 윗부분을 표현한 그림

   ④전신상화: 사람의 인체를 모두 표현한 그림

  <자세에 따른 분류>

   ①입상화 : 서 있는 모습을 표현

   ②좌상화 : 앉아 있는 모습을 표현

   ③와상화 : 누워 있는 모습을 표현

 (8)한국화

  1)한국화의 특징

   ①먹의 농담을 중시

   ②의 강약으로 생동감 표현

   ③여백의 미로 무한한 공간감 표현

   ④주관적,정신적,상징적 표현이 가능. 평면적인 그림이며 정적인 느낌

  2)한국화의 구분

   ①수묵화 : 먹으로만 그린 그림

   ②수묵 담채화 : 먹으로 그린 후 엷게 채색

   ③농채화(진채화) : 짙게 채색

   ④남종화(사의적, 수묵화) : 당나라의 왕유가 시조, 상징적 주관적 표현. 몰골법 표현

   ⑤북종화(사실적, 채색화) : 당나라의 이사훈이 시조, 객관적 사물의 사실 표현. 구륵법 표현

  3)한국화의 종류(소재)

   ①산수화 : 풍경을 소재로 그림, 진경(실경)

   ②화조화 : 꽃과 새를 그림

   ③초충도 : 풀과 곤충을 그림(신사임당의 초충도)

   ④어해화: 물고기 그림

   ⑤기명절지화 : 꽃가지와 기물을 그림(서양화의 정물화와 같은 것)

   ⑥영모화 : 새나 고양이등 털이 있는 짐승을 그림

   ⑦사군자 : 매화(봄) , 난초(여름) , 국화(가을) , 대나무(겨울)

   ⑧문인화 : 선비들이 여가를 이용하여 취미로 그린 그림 (시,서,화가 일치, 주로 사군자를 표현)

   ⑨풍속화 : 한 시대의 풍속이나 사회상 그림, 서민적 풍속도(김흥도), 양반 사회의 풍속도(신윤복)

  4)한국화의 표헌 기법

   ①구륵법 : 윤곽선을 그린 후 그 안에 채색

   ②몰골법 : 윤곽선이 없이 한 붓에 농담 표현

   ③백묘법 : 선으로만 표현

   ④갈필법 : 붓에 물기를 적게 하여 갈라진 붓 끝으로 바위 표면이나 나무 껍질의 거친 표현

  5)준법 : 바위나 산의 주름을 그리는 법

   ①피마준 : 삼나무 껍질의 흩어진 모양

   ②부벽준 : 도끼로 찍은 자국 모양

   ③우점준 : 빗방울 모양

   ④하엽준 : 연잎의 잎맥 모양

   ⑤절대준 : 가로를 그어 꺾는 'ㄱ'자 모양

 (9)판화

  1)판화의 특징

   ①회화에 속하며 실용적인 그림이다

   ②같은 그림을 여러 장 찍는다 (복수성)

   ③판에 의한 간접 표현이다

   ④판의 형식에 따라 독특한 재질감 표현

   ⑤그림의 좌우가 바뀜(공판화 예외)

  2)볼록판화

  가) 특징

   ①흑백의 대비 효과

   ②단순한 선과 형태 표현

   ③조각도의 특징이 잘 나타난다

   ④볼록한 면에 잉크가 묻어 찍힌다

  나) 종류 : 목판화, 고무판화, 석고판화, 리놀륨판화, 지판화, 직판화 등

    ※직판화: 나무판 위에 쇠붙이(못,철사,핀 등)를 놓고 망치로 두드린 후 그 자국을 찍는 판화

  다) 용구 : 로울러, 바렌(문지르개)

  라) 조각도

   ①창칼 - 선을 긋거나 글씨를 새길 때, 윤곽, 세부정리(세밀한 표현)

   ②세모칼 - 날카로운,가는 선이나 윤곽선을 한번에 팔 때 (비,머리카락 표현)

   ③둥근칼 - 굵은 선, 여백(배경)을 팔 때

   ④납작칼(끌칼) - 넓은 면, 여백을 팔 때

  3)오목 판화

  가) 특징

   ①동판, 아연판을 사용

   ②정교하고 섬세한 표현

   ③선이 가늘고 일정하다

   ④오목한 곳(선)에 잉크가 채워져 찍힌다

   ⑤판위에 종이를 놓고 압축기(프레스)로 찍는다

  나)드라이 포인트 - 부식시키지 않고 판에 직접 자국을 낸다

   ①판에 철침으로 새긴다

   ②판 전체에 잉크를 바른다

   ③판의 잉크를 닦아 낸다

   ④판 위에 종이를 놓고 프레스(압축기)에 넣고 찍는다

  다)에칭 - 세밀하교 정교한 표현

   ①판에 방부제(그라운드 니스)를 바른다

   ②철침으로 그림을 새긴다

   ③질산 용액에 넣어 부식시킨다

   ④방부제를 닦아 낸다

   ⑤판 전체에 잉크를 바른다

   ⑥판의 잉크를 닦아 낸다

   ⑦판위에 종이를 놓고 프레스에 넣고 찍는다

  4)평판화

  가) 특징

   ①붓의 자유로운 터치 표현(회화적인 표현)

   ②물과 기름의 반발 이용

   ③프레스로 찍음

   ④섬세한 표현은 어렵다

  나)석판화(리소 그래프)

   ①판에 해먹(리소 크레용)으로 그린다

   ②혼합액(아라비아 고무액)을 바른다

   ③물을 바른다(여백에만 물이 묻고 그림에는 물이 묻지 않는다)

   ④롤러로 유성 잉크를 칠한다

   ⑤판위에 종이를 놓고 석판기(프레스)로 찍는다

  다) 모노 타이프(유리 판화) : 한장 판화

   ①아크릴(유리)판 위에 스케치

   ②유채물감으로 그리기

   ③종이를 덮고 문지르기

   ④종이를 떼어내기

  5)공판화

   ①구멍을 통하여 잉크를 밀어 넣어 찍는다

   ②좌우가 바뀌지 않고 찍힌다

   ③종이(스텐실),천(실크 스크린)을 사용

   ④다색 판화에 적당

  ⑤'스퀴지'로 잉크를 칠한다

2.조소

 (1)조소의 분류 : 조소는 입체로 표현되는 공간 예술로서 조각과 소조를 합친 말이다

  ①조각 : 딱딱한 재료를 외부로 부터 안으로 파 들어가며 형체를 만든다.                        (석조, 목조, 아조, 석고조각,비누조각)

  ②소조 : 무른 재료를 이용하여 안에서 부터 밖으로 붙여 형체를 만든다(점토,석고,시멘트,지점토)

 (2)조소의 표현 방법

  ①환조: 완전한 입체로 사방에서 감상할 수 있다

  ②부조 : 반입체적인 조형물로 정면에서만 감상할 수 있다(고부조,중부조,저부조)

  ③심조 : 부조의 반대 개념으로 무늬 부분을 들어가게 파서 나타낸다

  ④투조 : 부조형식의 기법으로 여백을 뚫어 정면과 후면에서 감상이 가능하다

  ⑤선조 : 윤곽선을 가는 선으로 파내거나 덧붙여서 만드는 것으로 공예품에 많이 쓰인다.

  ⑥모빌 : 움직이는 조각으로 작은 자극에도 잘 움직이게 표현한다

 (3)인체 조소의 명칭

  ①마스크 : 얼굴 앞면만을 표현

  ②두상 : 머리 부분만을 표현

  ③흉상 : 가슴 위의 부분을 표현

  ④반신상 : 허리 위의 부분을 표현

  ⑤좌상 : 앉아있는 모습을 표현

  ⑥입상 : 서 있는 모습(전신상)을 표현

  ⑦와상 : 누워 있는 모습을 표현

  ⑧등신상 : 실제 사람의 크기와 같은 작품.

  ⑨토르소 : 팔, 다리, 머리가 없이 몸통만을 표현

 (4) 찰흙 작품 보관 방법

  ①석고형 뜨기 : 석고로 형을 뜨고 다시 석고를 부어 빼낸다

  ②테라코타 : 찰흙작품을 완성한 후에 속이 비게 재구성하여 초벌구이 한다.

  ③브론즈(청동 뜨기) : 석고로 내형과 외형을 뜨고 그 안에 청동(주석과 구리의 합금)을 부어 빼낸다

 (5)찰흙부조 석고형 뜨기의 제작 과정

  일정한 두께찰흙 만들기 →주걱으로 형태 스케치 →높낮이 생각하면서 전체적으로 붙이기

  →세부살 붙임, 배경 정리 →찰흙의 질감 살려 정리 완성

    <부조 석고형 뜨기> 

  ①찰흙 원형 →②둑 쌓기 →③외형 석고 붓기 →④찰흙 긁어내기 →⑤이탈제 바르기 →

  ⑥내형 석고 붓기 →⑦외형 석고 깨기

 (6)환조의 석고형 뜨기

  잘붙게 하기 위해 노끈을 감고, 거칠게 붙인 후 다듬는다 → 전체적인 덩어리와 동세를 생각하여

  표현 정리 → 비닐을 씌워두어 작품이 갈라지지 않도록 한다

    <환조 석고형 뜨기>

  ①찰흙 원형 → ②쪼갬볼 꽂기 → ③외형 석고 붓기 → ④원형 제거 → ⑤이탈제 바르기 →

  ⑥내형 석고 붓기 → ⑦외형 깨기

 

 

댓글은 아이티치포유 2017(공식홈)에서 작성가능합니다.바로이동하기
연관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