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 과학입니다ㅎㅎ
접속서버 :
학습자료실_40  |   |   |  1:1문의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  
아이티치포유 로그인

아이디
비번
회원가입     자동로그인

중학교 서브메뉴
1학년
과학
 1학기
2학기
공통학기
국어
기술가정
도덕
미술
사회
생활국어
수학
영어
음악
체육
컴퓨터
한문
2학년
3학년
공통


이 자료실은 일반 학습자료를 탑재하는 곳입니다.
학교 기출문제는 기출자료실 에서 업로드/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내수입보기 | 수익출금 | 회원순위

학습자료 > 중학교 > 1학년 > 과학 > 1학기
  
자료번호 10867
자료분류 중학교 / 1학년 / 과학 / 1학기
제목 과학입니다ㅎㅎ         
자료점수
[중1]과학_1학기_요점정리(지구의구조부터)#5d5k_10867.txt(Size:5.5 KB)
다운로드3

1.66
[자료설명]

《중1 과학》

Ⅰ.지구의 구조
1.지구의 내부

※지진
→지구 내부의 진동이 지표에 전달되어 땅이 흔들리는 현상
→진원 : 지진파가 발생한 지구내부의 지점
→진앙 : 진원에서 가장 가까운 지표면의 지점
◎지구내부의 조사 방법
→간접적인 방법 : 지구 내부를 통과한 지진파의 분석
→직접적인 방법 : 화산 분출물 분석,시추법
◎지진파
→지진파 : 지하에서 발생한 땅의 흔들림이 전파되는 것
→지진파(P파와 S파)
※P파와 S파 의 진동폭
→진동폭 : P파는 진동폭이 작고, S파는 진동폭이 크다
→피해정도 : P파는 피해정도가 약하고, S파는 피해정도가 크다
◎지진파의 속도 분포
→P파와 S파의 속도는 지하 30∼40km에서 크게 증가하고, 2900km에서 급격히 감소 하는데, 이는 2900km를 경계로 물질의 성질이 크게 달라 지기 때문이다. 한편 S파는 2900km이상은 통과하지 못하고, P파는 5100km에서 속도가 다시 증가 한다.
→지진파의 속도 변화는 물질의 상태가 달라짐을 나타내므로, 속도가 크게 변하는 깊이를 경계로 지구 내부를 크게 네 개의 층으로 구분한다
◎지각
→암석으로 되어 있는 지구의 겉 부분
→대륙지각과 해양 지각으로 구성
→대륙지각
·대륙아래의 지각
·화강암질 암석
·두께 : 약35km
→해양지각
·바다아래의 지각
·현무암질 암석
·두께 : 약5km
※모호면 (모호로 비치치 불연 속면)
→지각과 맨틀의 경계면
→지진파의 속도가 갑자기 빨라진다.
◎맨틀
→모호면부터 지하 약 2900km까지의 고체 상태의 암석층
→지구 내부 부피의 약 80%를 차지(지구층상 내부 구조중 가장 많은 부피 차지)
→지각보다 무거운 암석으로 구성
◎핵
→외핵
·지하약 2900km∼5100km까지 이다.
·S파가 통과하지 못한 것으로 보아 액체로 추정 된다.
→P파
·지하약 5100km에서 지구 중심까지이다.            
·P파의 성질이 바뀌는 것으로 보아 고체로 추정    
  ※지구 내부를 기준하는 기준   
  →지구 내부에서 전파되는 지진파의 속도 변화

2.대기권의 구조

◎대기권
→대기권은 지표를 둘러 싸고 있는 액1000km두께의 공기층 이다
→대기권의 분포 : 전체 대기의 약 99%가 고도 액 32km이내에 분포한다.(위로 올라갈수록 중력이 약해지므로 공기가 희박하다.)
※대기의 역할
→지표면 부근의 낮과 밤의 기온 차이를 줄여준다.
→지구로 들어오는 해로운 자외선을 막아 준다.
→지구밖의 작은 천체 (별똥별) 가 지표로 떨어질 때 대기와의 마찰로 타므로 천체가 지표에 떨어지는 것을 막아준다.
※대기권의 분류 기준
→높이에 따른 온도 변화
※대기를 이루는 건조 공기의 부피비
질소〈산소〈아르곤〈이산화탄소〈기타(질소와 산소가 대부분을 차지)


※대기와 표면온도
→온실효과
·지구 대기 중 일부 기체가 태양 복사 에너지 통과시키지만 지구 복사 에너지는 흡수 하였다가 지표로 다시 방출함으로서 지표의 온도를 상승시키는 작용
◎대류권(지표면에서∼약 10km)
→높이 올라갈수록 지구 복사 애너지가 적게 도달하여 기온이 낮아지고, 대류 현상이 일어나며 수중기가 포함되어 있으므로 대기의 대류 운동에 의하여 구름이 생기거나 비가내리는 기상 현상이 내린다.
◎성층권(10km∼약50km)
→오존픙이 자외선을 흡수하기 때문에 높이에 따라 기온이 올라가는 안정한 층이다.대기의 대류운동이 없는 안정한 층이므로 비행기의 항로로 흔히 이용된다.
◎중간권(50∼약80km)
→높이에 따라 기온이 낮아지는데 그이유는 성층권의 복사 애너지가 점차 감소하기 때문이며 중간권 상부에서는 약-90。C가 되어 대기권중 가장 온도가 낮다. 대류현상이 일어나지만 수증기가 거의 없으므로 기상 현상은 일어나지 않는다.
◎열권(80km이상)
→태양 복사 애너지 때문에 높이에따라 기온이 올라가고 공기가 희박하여 밤낮의 온도차가 크며, 극지방에 오로라가 나타난다. 또한 전파를 반사하는 전리층이 있어 방송국에서 보내는 전차가 이 층에 반사되어 먼곳에서도 방송을 들을수 있다.

Ⅱ.빛
1.빛의 성질


◎빛의 성질 3가지
→직진
→반사
→굴절
※직진의 예
→등대 불빛이 곧게 나간다.
→그림자, 바늘구멍 사진기에 상이 거꾸로 생기는 현상
※광원이란?
→스스로 빛을 내는 물체(해, 별, 형광등, 촛불등)
※반사체란?
→스스로 빛을 내지못하고, 광원에서 나온 빛을 반사하는 물체(달, 행성, 나무, 돌등)
◎ 물체가 우리눈에 보이는 이유
→광원에서 나온 빛이 물체에 반사되어 우리눈으로 들어오기 때문이다.
◎빛의 직진성
→빛은 곧바로 진행한다.
◎빛의 반사성
→진행하던 빛이 다른 물질을 만났을 때 되돌아오는 성질
·정반사 : 매끄러운 표면 (거울, 수면등)에서 일어나는 반사
·난반사 : 울퉁 불퉁한 표면(나무, 종이)에서 일어난 반사
◎반사의 법칙
→빛이 물체에 입사할때의 각도 (입사각) 와 반사되어 나가는 각도(반사각)가 같다(입사각=반사각)

◎거울에 의한상
→거울에서는 좌우가 바뀌어 보인다.
◎빛의 굴절
→빛이 한물질에서 다른 물질로 진행할떄, 두물질의 경계면에서 진행방향이 꺾이는 현상으로 물질에 따라 빛의 진행 속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입사각과 굴절각
→굴절되는 정도는 물질이 정도에 따라 다르다.
·공기⇒물(유리) : 입사각〉굴절각
·물(유리)⇒공기 : 입사각〈굴절각
◎렌즈에의한 빛의 굴절

2.빛의색

◎빛이 분산 되는 경우
→햇빛이 프리즘이나 분광기를 통해 통과할 때
→햇빛이 물방울에 위해 굴절될 때
※빛의 굴절률
→빨강〈주황〈노랑〈초록〈파랑〈남색〈보라
◎빛의 분산 원인
→백색광에 포함된 빛의 색에 따라 굴절되는정도가 다르기 때문이다.
※빛의 분산이란?
→빛이 여러 가지 색으로 나누어지는 현상.
◎빛의 분산에 의한 현상
→물위에뜬 얇은 기름층에 여러 가지 색깔의 띠가 생긴다.
→달무리와 해무리가 관찰된다.
→무지개 : 물방울에 의한 햇빛의 분산으로 생기는 스펙트럼으로 햇빛이 물방물에서 ⇒반사⇒굴절 되면서 색이 분리되어 생긴다.
※스펙트럼
→빛이 분산되어 생긴 여러 가지 색깔의 띰
→연속 스펙트럼 : 여러 가지 색깔이 연속적으로 나타나는 스펙트럼
→선스펙트럼 : 특정한 색이 선 모양으로 나타나는 스펙트럼
◎빛의 합성
→두가지 이상의 빛을 합하여 다른색의 빛을 만드는 것,
※색원판에 의한 빛의 합성
→빨강+초록=노랑
→빨강+파랑=다홍(심홍)
→파랑+초록=청록
→빨강 +파랑+초록=흰색
◎합성의 이용
→컬러 텔레비전·컴퓨터 모니터, 점묘화등
◎빛의 삼원색
→빨간색, 파란색, 초록색의 빛을 적절히 합성하면 백색광이 될 때 두색의 관계를 보색 이라고 한다.

◎보색

→두가지 색의 빛을 합성하여 백색광이 될때,두가지색의 관계를 보색 이라고한다

 

여기서 시험문제 조금 나왔어요 ㅋ

댓글은 아이티치포유 2017(공식홈)에서 작성가능합니다.바로이동하기
연관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