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 [고1]순천제일고등학교 기출 1학기
접속서버 :
학습자료실_40  |   |   |  1:1문의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  
아이티치포유 로그인

아이디
비번
회원가입     자동로그인

고등학교 서브메뉴
과학관련
국어관련
국어
 (상)
(하)
공통학기
국어생활
독서
문법
문학
작문
한문
화법
기타과목
논술대비
사회관련
수능대비
수학관련
실업계
외국어관련


이 자료실은 일반 학습자료를 탑재하는 곳입니다.
학교 기출문제는 기출자료실 에서 업로드/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내수입보기 | 수익출금 | 회원순위

학습자료 > 고등학교 > 국어관련 > 국어 > (상)
  
자료번호 23528
자료분류 고등학교 / 국어관련 / 국어 / (상)
제목 [고1]순천제일고등학교 기출 1학기         
자료점수
[고1]국어_2005_1학기_기말고사(순천제일고)#597d0kp9_23528.pdf(Size:597.0 KB)
다운로드3

5
첨부파일
미리보기
3.zb3 ) (나)의 재담 구조를 순서에 맞게 정리한 것은?
(A) : 말뚝이의 변명 (B) : 양반의 인심
(C) : 양반의 호령 (D) : 말뚝이의 조롱
(E) : 양반의 위엄
① (A) - (B) -(C) - (D) - (E)
② (E) - (C) - (D) - (A) - (B)
③ (A) - (D) - (B) - (E) - (C)
④ (E) - (D) - (C) - (A) - (B)
⑤ (C) - (E) - (B) - (A) - (D)
4.zb4 ) (나)의 밑줄 친 ㉠의 ‘춤’의 기능으로 알맞지 않
은 것은?
① 양반에 대한 풍자를 드러냄
② 새로운 장면을 전환시켜 줌
③ 새로운 놀이마당 분위기를 조성함
④ 관객들의 흥을 돋우고 긴장을 이완
⑤ 갈등을 일시적으로 해소시켜 줌
5.zb5 ) 다음 중 말뚝이의 역할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한 것
은?
① 시대적 문제들을 예리하게 파헤쳐 그 해결 방도를
제시하고 있다.
② 갈등을 빚으면서 서민과 양반 사이의 중재 역할을
하고 있다.
③ 개혁 의지를 갖고 있으나 결국은 양반과 결탁하는
나약함을 보이고 있다.
④ 양반의 언어를 사용하여 스스로의 권위를 높이고 있
다.
⑤ 양반의 허세와 무능을 폭로하고 권위에 저항하고 있
다.
[자료설명]

※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말뚝이:(벙거지를 쓰고 채찍을 들었다.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양반 삼 형제를 인도하여 등장)
양반 삼 형제:(말뚝이 뒤를 따라 굿거리 장단에 맞
추어 점잔을 피우나, 어색하게 춤을 추며 등장. 양반 3
형제 맏이는 샌님[生員], 둘째는 서방님[書房], 끝은 도련
님[道令]이다. 샌님과 서방님은 흰 창옷에 관을 썼다. 도
련님은 남색 쾌자에 복건을 썼다. 샌님과 서방님은 언
청이이며(샌님은 언청이 두 줄, 서방님은 한 줄이다.),
부채와 장죽을 가지고 있고, 도련님은 입이 삐뚤어졌고,
부채만 가졌다. 도련님은 일절 대사는 없으며, 형들과
동작을 같이하면서 형들의 면상을 부채로 때리며 방정
맞게 군다.)
(나) 말뚝이:(가운데쯤에 나와서) 쉬이. (음악과 춤
멈춘다.) 양반 나오신다아! 양반이라고 하니까 노론(老
論), 소론(少論), 호조(戶曹), 병조(兵曹), 옥당(玉堂)을 다
지내고 삼 정승(三政丞), 육 판서(六判書)를 다 지낸 퇴
로 재상(退老宰相)으로 계신 양반인 줄 아지 마시오. 개
잘량이라는 ‘양’자에 개다리 소반이라는 ‘반’자 쓰는 양
반이 나오신단 말이오.
양반들:야아, 이놈, 뭐야아!
말뚝이:아, 이 양반들, 어찌 듣는지 모르갔소. 노론,
소론, 호조, 병조, 옥당을 다 지내고 삼 정승, 육 판서
다 지내고 퇴로 재상으로 계신 이 생원네 삼 형제분이
나오신다고 그리 하였소.
양반들:(합창) 이 생원이라네. (굿거리 장단으로 모
두 ㉠춤을 춘다. 도령은 때때로 형들의 면상을 치며 논
다. 끝까지 그런 행동을 한다.)
(다) 말뚝이:쉬이. (반주 그친다.) ⓐ여보, 구경하시
는 양반들, 말씀 좀 들어 보시오. 짤따란 곰방대로 잡숫
지 말고 저 연죽전(煙竹廛)으로 가서 돈이 없으면 내게
기별이래도 해서 양칠간죽(洋漆竿竹), 자문죽(自紋竹)을
한 발 가옷씩 되는 것을 사다가 육모깍지 희자죽(喜子
竹), 오동수복(梧桐壽福) 연변죽을 이리저리 맞추어 가
지고 저 재령(載寧) 나무리 거이 낚시 걸듯 죽 걸어 놓
고 잡수시오.
양반들:뭐야아!
말뚝이:아, 이 양반들, 어찌 듣소. 양반 나오시는데
담배와 훤화(喧譁)를 금하라고 그리 하였소.
양반들:(합창) 훤화를 금하였다네. (굿거리 장단으로
모두 춤을 춘다.)
(라) 말뚝이 : 쉬이. (춤과 반주 그친다.) ⓑ여보, 악
공들 말씀 들으시오. 오음 육률(五音六律) 다 버리고 저
버드나무 홑뚜기 뽑아다 붙고 바가지 장단 좀 쳐 주오.
양반들 : 야아, 이놈, 뭐야!
말뚝이:아, 이 양반들, 어찌 듣소. 용두 해금(奚琴),
북, 장고, 피리, 젓대 한 가락도 뽑지 말고 건건드러지
게 치라고 그리 하였소.
양반들:(합창) 건건드러지게 치라네. (굿거리 장단으
로 춤을 춘다.)
(마) 말뚝이:샌님, 말씀 들으시오. 시대가 금전이면
그만인데, 하필 이놈을 잡아다 죽이면 뭣 하오? 돈이나
몇백 냥 내라고 하야 우리끼리 노나 쓰도록 하면, 샌님
도 좋고 나도 돈냥이나 벌어 쓰지 않겠소. 그러니 샌님
은 못 본 체하고 가만히 계시면 내 다 잘 처리하고 갈
것이니, 그리 알고 계시오. (굿거리 장단에 맞추어 일제
히 어울려서 한바탕 춤추다가 전원 퇴장한다.)
1.zb1 ) 이 글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① 반복된 재담의 구조를 가지고 있다.
② 고도의 풍자성과 해학성을 가지고 있다.
③ 조선 후기의 서민 의식이 잘 나타나 있다.
④ 일정한 무대에서 이루어진 전문적인 공연물이다.
⑤ 비속어와 한자어가 사용된 언어의 이중성을 보이고
있다.
2.zb2 ) 다음 중 (가)를 통해 볼 때 취발이를 나타내는 탈
은?

 

댓글은 아이티치포유 2017(공식홈)에서 작성가능합니다.바로이동하기
연관자료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