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습자료] 국사 요점정리(요점이기보단 자세함)
접속서버 :
학습자료실_40  |   |   |  1:1문의
  |  유치원  |  초등학교  |  중학교  |  고등학교  |  대학교  |  자격증  |  공무원  |  임용고시  |  
아이티치포유 로그인

아이디
비번
회원가입     자동로그인

중학교 서브메뉴
1학년
2학년
3학년
과학
국어
기술가정
도덕
미술
사회
생활국어
수학
역사
 1학기
2학기
공통학기
영어
음악
일본어
체육
컴퓨터
한문
공통


이 자료실은 일반 학습자료를 탑재하는 곳입니다.
학교 기출문제는 기출자료실 에서 업로드/다운로드 하시기 바랍니다.

내수입보기 | 수익출금 | 회원순위

학습자료 > 중학교 > 3학년 > 역사 > 공통학기
  
자료번호 33556
자료분류 중학교 / 3학년 / 역사 / 공통학기
제목 국사 요점정리(요점이기보단 자세함)         
자료점수
[중3]국사_공통학기_학습자료(조선의_사회변동)#91d0kp27_33556.hwp(Size:91.0 KB)
다운로드3

1.66
첨부파일
미리보기
 

Ⅵ 조선의 사회의 변동

1. 붕당정치와 탕평책

붕당 전개

한국에서는 조선 중기에 성립되어 서로 대립하고 공존하면서 정치를 이끌어 갔다. 지방에서 성장한 사림파(士林派)는 15세기 말 이후 중앙에 진출하기 시작하여 훈구파(勳舊派)로부터의 심한 탄압을 이겨내고, 16세기 중엽 선조 즉위 뒤 중앙 정계를 장악하나, 얼마 지나지 않아 서인과 동인으로 분파되었다. 근본적 원인은 당시 완전히 청산되지 않은 훈구 정치를 어떤 속도와 방법으로 극복할 것인가에 대한 후배 세대와 선배 세대의 입장 차이에 있었다.

 

또한 사회적으로는 중앙 정치에 참여할 수 있는 역량과 자격을 갖춘 사람들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관직을 둘러싼 경쟁이 집단화되어 나타난 현상이었다. 중국과 조선의 군주체제에서는 신료가 붕당을 결집하는 것은 범죄로 인식되었으며, 《경국대전》에는 거기에 대한 처벌 규정이 들어 있다. 그러나 중국 송대(宋代)의 신유학에서는 구양수(歐陽修)와 주희(朱熹) 등에 의해 군자끼리 모인 󰡐군자당󰡑이 소인의 집단을 누르고 정치를 주도하여야 한다는 논리가 제시되고, 조선의 사림파도 그것을 받아들였다. 특히, 학문과 정치가 결합된 상황에서 붕당은 학통의 차이와 정치적 입지에 따라 많은 분기를 보이면서 정치 세력 결집과 권력 행사에 중요하게 작용하였다.

 

서인은 이이(李珥)와 성혼(成渾)이 중심이 되었으며, 동인은 주로 이황(李滉)․조식(曺植)․서경덕(徐敬德)의 제자로 구성되었다.

이 중 구성이 복잡한 동인은 이황의 제자를 중심으로 한 남인과 그 밖의 인물을 중심으로 한 북인으로 분기되며, 북인은 다시 대북 ․소북 등 여러 분파를 낳았다.

각 붕당간의 부침이 심한 선조 때를 지나 광해군 때에는 그 즉위에 공이 큰 대북이 정권을 잡았으나, 서인․남인을 크게 배격하면서 영창대군(永昌大君)살해와 인목대비(仁穆大妃)의 유폐 등 무리한 정책을 편 끝에, 정변을 일으켜 인조를 앞세운 서인에 의해 숙청되었다. 이리하여 북인은 정파로서의 의미가 소멸하였다.

 

17세기 중반에는 서인이 주도권을 잡은 상태에서 남인과 경쟁하고, 반대당의 존재와 상호 비판을 보장하여야 한다는 정치방법론을 성립시켰다. 그러나 경쟁이 점차 가열되어 자기 당의 절대성과 반대당 축출을 정당화하는 방향으로 붕당론이 경직되는 가운데, 17세기 말 숙종 때에는 일거에 정권담당자가 교체되는 환국(換局)을 몇 차례 겪은 뒤 서인의 우세가 확립되었다. 그 즈음 서인은 다시 노론과 소론으로 분기하고, 경종 때에 왕위계승 문제를 쟁점으로 격렬한 정쟁을 겪은 뒤 노론의 우위로 귀결되었다.

 

18세기 중 ․후반의 영조와 정조 때에는 국왕의 절대성을 추구한 탕평책(蕩平策)으로 말미암아 정치세력이 국왕의 정책에 대한 지지 여부에 따라 재편되기도 하였다. 이것은 신료들 내부의 쟁점과 입장 차이를 두고 대립한 기존 붕당의 변질을 뜻하는 것이다.

 

붕당은 한때 조선의 망국을 초래한 원인으로 격렬히 비판되었으나, 그 나름대로의 정제된 이념과 정치운영 장치를 갖추고 폭넓은 여론을 반영하며, 후대로 내려와서는 사회 정책에도 독자적 입장을 지닌 정치집단이었음이 밝혀졌다. 그러나 조선시대 군주체제의 틀 안에서 지배세력인 사족의 이해를 반영하는 데 그침으로써 현대의 민주 정당과는 명백히 구분된다.


 

[자료설명]

 잘사용하세요

댓글은 아이티치포유 2017(공식홈)에서 작성가능합니다.바로이동하기
연관자료 보기